산·학·관연계 중소기업 수출전략 수립 지원사업
교육과정 소개
본 과정은 2015년부터 대학 및 기관의 우수재원 활용을 통한 글로벌 중소기업 양성 및 중소기업 인식개선을 통한 청년 취업 및 창업 확대를 목표로
- 중소기업 수출전략 수립을 위한 교과목 개설 및 희망중소기업 모집
- 국제마케팅, 경영전략, 시장분석 등 교육실행
- 기업별 현장방문 및 미팅을 통해 사전 리서치 수행
- 수출전략보고서 작성 및 발표회
등을 통하여 중소기업 주력 생산품에 대한 다양한 판매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산⋅관⋅학이 연계하여 중소기업의 수출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교육성과
년도/차수 | 참여기업 수 | 참여학생 수 | 수출전략보고서 건수 |
---|---|---|---|
2015년 1차 | 13개 | 110명 | 13건 |
2015년 2차 | 12개 | 77명 | 12건 |
2016년 1차 | 14개 | 68명 | 20건 |
2016년 2차 | 10개 | 30명 | 19건 |
2017년 1차 | 13개 | 48명 | 13건 |
2017년 2차 | 13개 | 59명 | 13건 |
2018년 1차 | 8개 | 42명 | 8건 |
2018년 2차 | 12개 | 60명 | 12건 |
2019년 1차 | 11개 | 43명 | 11건 |
2019년 2차 | 14개 | 43명 | 14건 |
교육목표

대학 및 기관의 우수재원 활용을 통한 글로벌 중소기업 양성
- 지자체, 중소기업지원기관, 교육기관 등의 통합형 지원으로 중소기업 글로벌화 발판마련
- 수출을 위한 기업진단, 목적시장 분석, 전략기획, 잠재적 바이어 발굴, 수출이행단계 등 일련의 과정들을 하나의 사업단위에서 지원하는 원스톱 플랫폼 제공

중소기업 인식개선을 통한 청년 취업 및 창업 확대
-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현장요구형교육’을 통한 취업경쟁률 제고
-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 및 미래 지향적이고 발전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취업 정체현상 해소
- 유망 중·소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아이템 및 기술의 간접체험을 통하여 청년창업에 대한 교두보 마련

대학 및 기관의 우수재원 활용을 통한 글로벌 중소기업 양성
- 부산시 소재의 수출중소기업을 활용, 현장에서 근무하는 많은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수출시장분석에서 부터 시장진입 전략방안 및 대안제시까지 현장에서 요구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학생들 스스로가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 중소기업 현장 견학을 통한 실제 업무 파악 및 현장의 이해를 통한 조직 적응력 향상

지속가능하고 광범위한 협업모델 구축
- 부산시 소재 수출중소기업, 부산시, 부·울중소기업청, 부산대학교 경제통상연구원 및 학생들과의 협업을 통하여 지역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 육성함으로써 지속가능하고 광범위한 지역 상생모델 협조체계 구축
교과목 소개

IE12605
글로벌수출전략(Ⅰ)
Global Exporting Strategy(Ⅰ)
글로벌수출전략(Ⅰ)
Global Exporting Strategy(Ⅰ)
-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제도 및 해외시장 개척 방법에 대한 이론적 학습
- 아이템 선정 및 수출전략에 필요한 기초적인 마케팅 기법을 이해하고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기초지식 습득

IE12606
글로벌수출전략(Ⅱ)
Global Exporting Strategy(Ⅱ)
글로벌수출전략(Ⅱ)
Global Exporting Strategy(Ⅱ)
- 글로벌 수출환경의 변화에 대한 이해
- 기업의 경쟁력 분석 및 글로벌 전략 구축을 위한 다양한 분석기법의 활용방안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