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소개
본 과정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공기업 관리와 관련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교육을 통하여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관리능력 및 실천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공기업 관리자의 육성, 산학간 유대 관계 증진을 통한 학문과 공기업 실무간 효과적인 연계성 확보를 목표로 경영과 정책을 융합한 전공교육과정, 국제교육과정, 소양교육과정 등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성과
년도 | 참여공기업 수 | 교육생 수 |
---|---|---|
2012년도 | - | 17명 |
2013년도 | 19개 | 33명 |
2014년도 | 23개 | 42명 |
2015년도 | 29개 | 52명 |
2016년도 | 35개 | 63명 |
2017년도 | 42개 | 72명 |
2018년도 | 43개 | 78명 |
2019년도 | 47개 | 82명 |
2020년도 | 48개 | 85명 |
2021년도 | 47개 | 84명 |
2022년도 | 47개 | 90명 |
교육목표

경영과 정책을 융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공기업관리와 관련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교육을 통하여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관리능력 함양
- 공기업의 핵심인력이 갖추어야 할 정책결정 및 분석능력 제고
- 질 높은 이론 강의와 함께 수강자가 직접 참여하는 사례연구, 국내ㆍ외 현장 탐구학습 등을 통하여 실천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공기업 리더 육성
- 공기업 차세대 리더간의 긴밀한 정책 네트워크 형성
- 산학간 유대 관계 증진을 통하여 학문과 공기업 실무간 효과적인 연계성 확보
교과목 소개
교육과정 | 교과목 | |
---|---|---|
전공교육 | 공공정책과정 | 경영평가의 이해, 공기업의 CSR전략, 공기업 감사사례연구 정부시장관계론, 공공기관의 정책방향, 공기업과 지방자치, 공기업평판의 대국민침투성 관리, 공기업 역할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문화다양성의 이해와 조직관리 등 |
경제경영과정 | 공기업 재무회계관리, 공기업 자산관리, 공기업 인적자원관리, 공기업 노사관계의 특성, 갈등관리와 협상, 협상론 및 협상게임, 전략적 사고, 경제지표의 분석과 활용, FTA시대의 국제마케팅, 글로벌 금융환경의 변화, 공공기관의 경영전략, 경영전략론 등 | |
공학기술과정 | 빛과 물리, 기술의 트렌드와 미래전망, 도시와 교통의 이해, 기술이 만드는 미래 세상, 도시계획의 이해, 플랜트 산업의 이해, 에너지와 환경, 에너지인프라 자산운용, 산업구조변화와 도시의 미래, ICT기술발전 역사와 미래방향, 기술적 관점에서의 4차 산업혁명 등 | |
전공심화과정 | 지도교수와 공기업 현안에 대한 공동연구 공기업 리더십 사례 발표, 공공정책사례특강, 공기업정책론 | |
국제교육과정 | 국제국내교류과정 | 국외공기업(유럽・미국・아시아 공기업) 연수, 국내공기업(국가・지방공기업) 견학 |
글로벌교육과정 | Global SOE Governance, Asian Management History,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y and Organization, Concepts and Dynamics of Business Law, European Societies, Politics and Economics, Business and Security, Negotiating Tactics for Business Persons, Building a Psychologically, International Law’s Impact, Cross-Cultural Negotiations, Power Dist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
소양교육과정 (전문가 초청특강) |
리더의 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 스마트시대의 미래, 직장인 스트레스관리, 동북아 문화교류의 역사, 동양철학사, 서양철학사, 북한경제와 남북경협, 마키아벨리와 권력의 본질, 메디치가의 교훈, 한국역사의 일부로서의 서양근대, 법으로 철학하기, 창의와 예술적 사고, 역발상과 디테일, 프랑스 와인과 문화읽기, 아름다움의 힘과 가치, 근대적 문명과 유학, 세상물정의 사회학, 격을 갖춘 리더, 인도의 사회문화, 알파고 시대의 이해, 세금혁명, 상징으로 풀어보는 그림이야기, 지도자와 공동체의 운명, 동남권 광역경제 공동체 구축전략, 글로벌 리더의 조건(스토리텔링), 한국인의 집, 세계화의 역사와 미래, 고전을 통한 인간관계의 기술, 현대 물리학과 현대 미술, 인류를 이해하는 새로운 키워드‘공감’, 한반도 지진의 이해와 대응방향 등 |
교육생파견 공기업 현황
(2022년도 현재)
구분 | 기업명 | 구분 | 기업명 |
---|---|---|---|
국가공기업 | 국가철도공단 | 국가공기업 | 한국수력원자력(주) |
국민연금공단 | 한국수자원공사 | ||
국민건강보험공단 | 한국한국예탁결제원 | ||
근로복지공단 | 한국자산관리공사 | ||
기술보증기금 | 한국장학재단 | ||
부산항만공사 | 한국전력공사 | ||
부산항보안공사 | 한국조폐공사 | ||
여수광양항만공사 | 한국주택금융공사 | ||
울산항만공사 | 한국중부발전(주) | ||
주식회사 에스알 | 한국지역난방공사 | ||
주택도시보증공사 | 한국철도공사 |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한국토지주택공사 | ||
한국가스공사 | 한전원자력연료(주) | ||
한국공항공사 | 한전KDN(주) | ||
한국국토정보공사 | 한전KPS(주) | ||
한국남동발전(주) | 지방공기업 | 경남개발공사 | |
한국남부발전(주) | 대구도시공사 | ||
한국농어촌공사 | 부산교통공사 | ||
한국도로공사 | 부산도시공사 | ||
한국동서발전(주) | 부산시설공단 | ||
한국마사회 | 부산환경공단 | ||
한국부동산원 | 울산도시공사 | ||
한국서부발전(주) | 울산시설공단 | ||
한국석유공사 | 총 47개 기관 |
기타사항
정기주차 | 공기업리더십과정 예산으로 주차료 납부, 수업기간 중 학내 무료주차 |
---|---|
도서관 이용 및 도서대출 | 도서관 출입증 및 대출증 제공 |
강의교재 | 공기업리더십과정 예산으로 전 교과 강의교재 구입 / 제공 |
수료기준 | 90% 이상 출석, 국외공기업견학 보고서 작성, 연구논문발표, 시험성적 60점 이상 충족 시 수료증 수여 |
교육생 포상 | 출석 및 연구논문 우수자 포상 우수교육수료자 대상 부산대학교 총장, 산학협력단장, 경제통상연구원장 표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