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의 월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방 청년인구 유출과 저출생 현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최근 10년간 지방은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20세∼49세의 인구 순유출이 더욱 가속화되어 지방 소멸의 위험성이 증대되었다. 이는 출산 가임 연령에 해당하는 인구의 순유출이 해당 지역 인구 소멸 현상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 청년층의 인구 순유출의 원인과 이로 인한 저출생 현상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지방 청년인구 유출에는 수도권과 지방의 청년취업률 차이와 수도권 주거 비용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방 저출생에는 수도권과 지방의 혼인율 차이 및 수도권 전·월세가격,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으로 인구 순유출이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일본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 청년인구 유출이 더 심각하여 과거 정부가 추진해 온 지방 소멸 및 저출생 관련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내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