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ing paper 2025] 지역혁신정책 수립을 위한 기술지식 지형 기반 잠재기술 탐색: 전라권 지역을 중심으로
제목 : 지역혁신정책 수립을 위한 기술지식 지형 기반 잠재기술 탐색: 전라권 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 장지윤, 이준민
초록
본 연구는 진화경제지리학의 관점에서 전라권(광주, 전남, 전북) 지역의 기술지식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산업 전략 수립에 활용 가능한 잠재기술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특허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역별 현시기술우위지수(RTA)를 산출하여 기술 특화 수준을 계량화하였으며, 연관성밀도(RD) 분석을 통해 향후 기술 전환 가능성이 높은 분야를 식별하였다. 특히, RTA 값이 0.9를 초과하고 1 이하인 기술군을 ‘잠재기술’로 정의하여 정책적 유망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잠재기술에 속하는 특허 데이터를 대상으로 LDA 기반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각 지역의 기술 방향성과 주요 산업 연계 구조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광주는 전자·에너지·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기계·제어 계열 기술, 전남은 식품·화학·환경 응용 기술, 전북은 정밀 계측, 농생명, 복합소재 등의 분야에서 잠재적인 강점을 보이고 있었으며, 광주는 특정 기술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지만 전북은 분산되어 범용성을 높이는 전략을 취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전라권 지역의 기술 역량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지역별 맞춤형 산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정책적 의의를 지닌다. 특히, 기존의 지역 산업 정책이 첨단 기술 유행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며 지역 간 중복 투자가 발생했던 한계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잠재기술 궤적 기반 분석은 향후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전략적 산업 선택을 가능케 하는 정책적 대안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