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에서는 LMDI 방법론을 활용해 2004~2019년 기간 동안 부산시 전력 소비량 변화를 분석했다. 부산시의 산업, 수송, 가정, 상업, 공공·기타 등 5개 부문의 전력 소비량 변화를 전력화율 효과, 1인당 에너지 소비량 효과, 인구 효과, 에너지 집약도 효과, 1인당 GRDP 효과로 분해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1인당 GRDP 효과가 전력 소비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력화율 효과가 그 뒤를 이었다. 부산시의 경제 성장과 전력 소비 간 비례 관계를 유지하기보다는, 경제 성장을 도모하면서 전력 소비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산업과 상업 부문에서 전력화율 효과가 가장 높아, 재생 가능 에너지 기반의 전력화 확대가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집약도 감소가 부산시 에너지 소비량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문별로 차별화된 전력 수요 관리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