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02.06
수정일
2025.02.06
작성자
박경미
조회수
17

[Working paper 2025]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지식공간 및 기술융합 진형 분석: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제목 : 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지식공간 및 기술융합 진형 분석: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저자 : 전지연, 이준민


초록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지역 산업 생태계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디지털 기반 신산업 창출이 지역 경쟁력 제고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지역이 보유한 기술 역량을 분석하고, 그 잠재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지역의 지식공간 및 기술융합 지형을 분석하여 디지털 전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진화경제지리학적 관점을 적용하고, 최근 5년간 국내에 출원된 특허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청의 4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핵심 기술(CPC)로 H01L(반도체 장치), H01M(전지), G01N(물질 분석), G06F(컴퓨터 기술), G06Q(데이터 처리), A61K(의약 조성물) 등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 기술과 연계된 세부 기술군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어, 세종시는 우주항공, 원자력, 인공지능, 데이터 처리, 자율주행, 통신 네트워크, 고분자 및 소재 산업과 관련된 기술이 디지털 전환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술들과 연계된 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비교적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충청지역의 디지털 산업 육성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역별 기술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디지털 전환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디지털 전환, 지역혁신, 기술정책, 기술융합, 지식공간, 충청지역
첨부파일